한국마사회 2023년 경마시행계획
작성자 정보
- 경마사이트 작성
- 작성일
컨텐츠 정보
- 2,921 조회
-
목록
본문
경마시행 기간 : 2023. 1.6.(금)∼12.31.(일)
경주 시행규모
경마장별 시행규모 총괄 (단위 : 일, 경주)
구분 | 서울 | 부경 | 제주 | |
---|---|---|---|---|
경마일수 | 98 | 98 | 96 | |
경주수 | 1,052 | 710 | 693 | |
발매 경주수 | 계 | 2,376 | 2,028 | 1,979 |
서 울 | 1,052 | 1,052 | 1,052 | |
부 경 | 710 | 710 | 234 | |
제 주 | 614 | 266 | 693 |
(경마일수) 하계·설·추석·신정 휴장으로 98일(49주) 운영
(경주수) 서울 1,052R, 부경 710R, 제주 693R 시행
(발매경주수) 사감위 교차수신비율 준수를 위한 판매경마장별 적정 발매경주 수 배치 운영
경마장별 휴장기 운영
구분 | 서울 | 부경 | 제주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12.30. ∼ 1. 1. | 휴장 | 휴장 | 휴장 | `23년 신정 휴장 | |
1.20.∼ 1.22 | 휴장 | 휴장 | 휴장 | 설 휴장 | |
7.28.∼ 7.30. | 휴장 | 시행 | 시행 | 혹서기 교차휴장 | 부경 26R, 제주 21R |
8. 4.∼ 8. 6. | 시행 | 휴장 | 휴장 | 서울 30R | |
9.29 ∼ 10. 1. | 휴장 | 휴장 | 휴장 | 추석 휴장 |
혹서기 교차휴장 기간 중 부경·제주 동시 휴장 시(8월 1주)에는 당해주 금요일 전체 휴장 (서울 토·일 시행)
추석 및 연말 휴장기는 예비경마일로 지정하여 운영
요일별 기본 발매경주 수
* 교차휴장 등 시기에 따라 소폭 변동 운영
구 분 | 금요일 | 토요일 | 일요일 |
---|---|---|---|
발매경주 수 | 15R | 16R | 17R |
출발시각
시행 형태 | 구 분 | 금요일 | 토요일 | 일요일 |
---|---|---|---|---|
주간 경마 | 첫 경주 | 11:00 | 10:40 | 10:40 |
마지막 경주 | 18:00 | 18:00 | 18:00 | |
야간·노을경마 | 첫 경주 | 14:00 | 13:30 | 11:40 |
마지막 경주 | 21:00 | 21:00 | 19:00 |
* 야간경마 출발시각은 경마장별 경마시행여건에 따라 소폭 변동 가능
** 일요일 서울경마장의 첫 경주 및 마지막 경주 출발시각은 경마시행 여건에 따라 각각 1시간 순연 조정 가능
야간·노을경마 시행
시행시기 : 7월 3주 ∼ 8월 3주 (총 6주간)
시행방식 : 금·토요일 야간경마, 일요일 노을경마
[야간경마기간 경마장별 경마 시행 형태]
구분 | 금요일 | 토요일 | 일요일 | |
---|---|---|---|---|
7월 | 3·4주 | 부경![]() ![]() | 서울![]() ![]() | 서울![]() ![]() |
5주 | 제주![]() | 부경![]() ![]() | 부경![]() | |
8월 | 1주 | 휴장 | 서울![]() | 서울![]() |
2·3주 | 부경![]() ![]() | 서울![]() ![]() | 서울![]() ![]() |
* 경마장별 야간경마 시행일수 : 5일(서울·부경·제주 동일) / 21시 종료
** (7월 5주) 서울 휴장 / (8월 1주) 부경·제주 휴장
※ 경마 시행형태, 시행규모, 중계경주 수, 출발시각 등은 상황에 따라 연중 변동 가능
주요변경사항
1. 경마산업 정상화 진입에 연계한 경마시행계획 수립
가. 경마시행 규모 확대
□ (경주 수 확대) 외산 경주마 입사 재개 등 경마 완전 정상화에 따라 경마시행규모 또한 단계적 확대
구분 | 서울 | 부경 | 제주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’22년 | ’23년 | ’22년 | ’23년 | ’22년 | ’23년 | |
경마일수 | 96 | 98 | 96 | 98 | 96 | 96 |
경주수 | 971 | 1,052 | 694 | 710 | 686 | 693 |
주당경주수 | 20 | 21.5 | 14 | 14.5 | 14 | 14.5 |
□ 대상·특별경주 확대 시행 및 순위상금 인상
* 대상경주(L) 신설(브리더스컵 퀸, 국산 암말) 및 특별경주(해외경마시행체 교류경주) 2R 신설 추진
* G격 대상경주 순위상금 인상 : (코리아컵)10 -> 16억, (코리아스프린트) 10 -> 14억, (G1)9 -> 10억, (G2)6 -> 7억, (G3) 4 -> 5억
나. 야간경마 효율화 및 노을경마 재개
□ ()야간경마 축소 시행) 야간경마 시행기간 축소(기존 9주→’23년 6주)
* 야간경마로 개최되는 경주는 출전장려금·기승료 우대 지급
□ (일요일 노을경마 재개) 토요 야간경마 시행과 연계, 일요일 첫경주·마지막 경주 출발시각 한시간 순연 (10:40→11:40, 18:00→19:00)
다. 외산마 입사 제한 단계적 해제
□ (`23년) 경마장별 외산 수말* 도입쿼터 운영 : 서울 90, 부경 60두 * 외산 암말은 상기 쿼터와 무관하게 도입 가능
□ (`24년∼) 외산마 도입 정상화
2. 경주마 생산환류 활성화를 위한 정책 확대
가. 외산 출전경험마(암말) 도입 허용 (사전예고)
□ 대 상) 3세 이하(최초 입사일 기준, 남반구산은 4세 상반기) 외산암말 중 PARTⅠ국가(싱가포르 포함) 개최 경주 우승경험마(출전횟수 상한 없음)
* 단, 도입 대상 경주마 교배 당시의 교배료가 2만불 이상으로 입증 가능한 경우 한정(마주가 입증·제출)
□ (최초등급 부여) 성적·수득상금 및 국가별 능력치 분류 특성 감안 정량기준을 고려, 본회 핸디캡전문위원이 경주마 최초레이팅 개별 부여
외산 출전경험마(암말) 도입시 최초 등급 분류 정량기준(예시)】
레이팅 보유시 | 레이팅 미보유시 | ||
---|---|---|---|
출신국 | 최초 국내레이팅 | 수득상금(순위상금) | 최초 국내 레이팅 |
미국(NARC) | NARC레이팅 + 15 | USD 10만↑ | 90↑(C1) |
일본(JRA) | 국제레이팅 + 20 | USD 7만-10만 | 75↑(C2) |
홍콩(HKJC) | HKJC레이팅 + 20 | USD 4만-7만 | 60↑(C3) |
기 타 | 국제레이팅 + 15 | USD 4만↓ | 45↑(C4) |
* 위 기준은 예시이며, 동 세부 운영기준 수립 후 공표 예정
□ (시행시기) ’24년부
나. 국산 최고 암말 선발 체계 구축
□ (혼합 대상경주 국산 한정 전환) 경상남도지사배(G3, 국, 3세이상, 암)를 국산마 한정 출전경주로 전환
□ 국산마 한정 대상경주 신설) 브리더스컵 퀸(L, 국, 3세이상, 암, 3억원) 신설로 국산 암말 시리즈체계 구현
□ (국산 암말 시리즈체계 신설)「제주특별자치도지사배 → 경상남도지사배 → 브리더스컵 퀸」으로 이어지는 시리즈체계 운영
* 브리더스컵(G2, 국2세암수)도 이와 연계하여 ‘브리더스컵 루키’로 경주명칭 변경
일자 | 장소 | 경주명 | 격 | 거리 | 산지 | 연령 | 성별 | 레이팅 | 상금 | 중량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9월24일 | 서울 | 제주특별자치도지사배 | G3 | 1400 | 국 | 3세↑ | 암 | 오픈 | 500 | 별A |
10월20일 | 부경 | 경상남도지사배 | G3 | 1800 | 국 | 3세↑ | 암 | 오픈 | 500 | 별A |
12월10일 | 부경 | 브리더스컵 퀸 | G3 | 2000 | 국 | 3세↑ | 암 | 오픈 | 500 | 별A |
관련자료
-
이전
-
다음